본문 바로가기
과학

“하품은 왜 전염될까?” 과학이 밝힌 5가지 이유

by 자연사박물관 2025. 7. 13.
반응형

회의 중, 지하철에서, 혹은 TV를 보다 누군가 하품하는 모습을 보면 이상하게 나도 따라 하게 됩니다.
이걸 단순히 “피곤해서”라고 넘기기엔 너무 많은 사람이 동시에 겪는 현상이죠.

실제로 하품은 ‘전염’되는 행동입니다.
그리고 그 이유는 단순한 생리 작용이 아니라, 우리 뇌 깊은 곳의 ‘공감 회로’와 사회적 연결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누가 하품하면 나도 따라 하게 되는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품은 왜 전염될까?

 

1. ❌ 하품은 산소 부족 때문이 아니다

과거엔 하품이 산소 부족을 보완하기 위한 생리 반응이라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생리학자 로버트 프로빈 교수는 1987년 실험을 통해 산소 농도와 하품 빈도 간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음을 입증했죠.

실제로 산소가 충분한 환경에서도 사람은 하품을 하고, 반대로 산소가 부족해도 하품이 멈추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하품은 단순한 호흡 조절이 아니라 뇌 기능 조절과 더 밀접한 연관이 있는 행동입니다. 배경, 리얼리스틱 스타일”

하품을 연구하는 과학자

2. 🌡️ 뇌를 식히는 자연의 쿨링 시스템

2007년 애리조나대학 연구팀은 놀라운 실험을 발표했습니다.
사람이 하품을 한 뒤 뇌 온도를 측정했더니, 평균 0.1~0.3도 낮아진 것이죠.

뇌는 복잡한 사고를 하면 과열되는데, 하품은 입과 목 근육을 크게 확장시켜 찬 공기를 유입해 뇌를 식히는 역할을 한다는 겁니다.

마치 컴퓨터가 뜨거워지면 쿨러가 돌아가는 것처럼,
하품은 뇌를 리프레시하는 자연스러운 냉각 장치였던 거죠.

하품 할떄 공기 흐림도

3. 🧠 거울신경세포의 작용: 따라 하게 만드는 뇌

이탈리아 파르마대학 연구팀은 원숭이 실험 중,
다른 원숭이의 행동을 관찰만 했는데도 같은 부위의 뇌가 활성화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이게 바로 거울신경세포(Mirror Neuron)입니다.

이 세포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내 것처럼 인식하게 만드는 신경으로, 하품 전염의 핵심이죠.
누군가 하품하는 모습을 보면 우리 뇌는 자동으로 그 행동을 '모방'하려는 반응을 보입니다.

즉, 하품은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신경계의 감정적 공감 반응이자, 뇌 구조가 자동으로 작동하는 결과입니다.

거울신경세포가 활성화된 인간의 뇌 단면도

4. 🤝 친한 사람일수록 더 잘 전염된다

흥미롭게도, 하품은 모르는 사람보다는 가족, 친구, 연인 등 가까운 사이에서 더 쉽게 전염됩니다.
2011년 피사대학교 연구팀은 이 현상을 1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실험해 밝혔습니다.

감정적으로 가까운 사람일수록, 하품에 대한 공감도와 반응 강도가 더 높아졌던 것이죠.

이건 하품이 단순한 생리 작용이 아니라, 사회적 유대감과 감정이입이 반영된 신호임을 보여줍니다.

가족 구성원이 함께 거실에서 하품하는 모습

5. 🧩 자폐 스펙트럼과 하품 반응의 차이

심지어 하품 반응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진단에도 활용됩니다.
2009년 영국 더럼대 연구에 따르면, 자폐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하품의 전염 반응이 현저히 낮은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자폐 스펙트럼이 감정 공감 및 사회적 반응 능력에 차이를 보이는 질환이기 때문이며,
하품 실험이 실제 진단 보조자료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심리 실험을 받는 아이, 거울 뒤에서 관찰하는 심리학자

 

👨‍👧 부모님을 위한 설명 예시

아이: “엄마, 왜 누가 하품하면 나도 하품 나와?”

엄마: “그건 네 뇌가 다른 사람을 따라 하면서 공감하려고 해서 그래.
네가 친구가 아프면 같이 걱정되듯이, 누가 하품하면 뇌가 ‘나도 같이 해야지!’라고 반응하는 거야.”

 

📌 요약 정리

❌ 산소 부족설 과학적으로 부정됨
🌡️ 뇌 냉각설 하품은 뇌 온도 조절에 도움
🧠 거울신경세포 하품 전염의 핵심 신경 기전
🤝 사회적 공감 친밀한 사이일수록 전염 ↑
🧩 자폐 관련성 감정 공감도 평가 지표로 활용

 

마무리

하품은 단순히 졸릴 때 나오는 반사 반응이 아닙니다.
우리 뇌의 정교한 작용, 감정 공감 능력, 그리고 사회적 유대감까지 담겨 있는
인간만의 고차원적 신호입니다.

누군가 하품을 할 때 “나도 모르게 따라하게 되는 것”은
바로 우리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증거일지도 모릅니다.

다음번에 하품이 전염될 때,
그 속에 담긴 뇌의 놀라운 과학을 떠올려보세요 😊

 

 

728x90
반응형